|
|
|
현재위치 : Home > 항만용어사전 |
|
|
사면선단 파괴(斜面先端破壞) toe failure |
|
|
|
사면의 하단을 통과하는 활동면을 따라 파괴되는 사면파괴. 사질토의 급경사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
|
|
사석고르기((捨石-) trimming of rubble bed |
|
|
|
사석으로 된 비탈을 설계 단면과 같이 형성시키는 것을 사석고르기라 한다. 케이슨이나 셀블록 등의 항만구조물이 직접 접하는 기초사석의 표면을 소정의 높이로 고르는것을 특히 사석기초고르기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기초고르기 면은 ± 5Cm정도가 요구된다. |
|
|
|
샌드 드레인 공법(-工法) sand drain method |
|
|
|
연약지반 안에 투수성이 좋은 모래말뚝을 박고 그 위에 모래를 깔고 흙 쌓기로 하중을 실어 연약한 토중의공극수를 배수한 다음, 지반의 압밀을 촉진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약지반 개양공법. 단순한 프리로딩 공법(재하 압밀공법)에 비해서 개량기간이 짧다. 모래 말뚝의 타설 도중에 모래 말뚝이 절단되니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
|
|
|
샌드 매스틱 공법(-工法) sand mastic method |
|
|
|
제방. 방파제 등에서 돌붙임면의 비탈면, 사석, 돌덩어리 등의 밑다짐을 보강함으로써 파력ㅇ나 유수에 의한 돌덩어리나 사석의 이동,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아스팔트 혼합물. 육상이나 수중 어디에서든 시공할 수 있으나 물 속의 사석 간극을 위부터 채우고 돌 상호간을 결합하여 세굴 저항을 증가 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예가 많다. |
|
|
|
석적제(石積堤) rock fill levee, masonry levee |
|
|
|
적립에 가까운 제체(堤體)의 표면을 돌쌓기로 하고 그 내부에 조석을 채운 구조의 방파제. 이것은 구조가 간단하고 대규모의 설비가 요구됮지 않아 시공도 용이하지만 내파성이 부족하여 파도가 약한 내만 등의 소항만 또는 항내파제제로서 채용되고 있다. 제체내로 파도가 침임하기 쉽고 이로 인해 부양력이 작용하여 붕괴되기 쉽기 때문에 제체에 침입한 물 및 공기가 바깥으로 자유롭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용 구멍을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 |
|
|
|
선거(船渠) dock |
|
|
|
① 조차가 큰 지역에 갑문을 만들어 그 내부를 박지와 부두로 개발한 항만시설 전체를 선거라 칭환다.(예: 인천항 선거).
② 선박건조, 개조, 수리 및 검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소로 입출거 또는 상하가장치, 주배수장치 및 작업기구 등이 설비되어 있다. |
|
|
|
선양장(船揚場) ship, slipway |
|
|
|
수중에서육상으로 경사진 레일을 부설하여 이 레일의 대차 위에 선체를 올려 놓고 강력한 윈치(whinch)와 wire purchase를 사용하여 육상으로 끌어 몰리는 시설을 말한다. 소형선의 수리에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장치에 의하여 배를 육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상가라고 한다. 선박을 올리는 이유로는 선박수리, 파랑이나 고조로부터 선박보호, 월동 등 이 있다. |
|
|
|
세굴방지공(洗掘防止工) scour protction |
|
|
|
파(波)나 물의 흐름에 의하여 구조물 선단의 지반이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매트나 아스팔트 매트, 비닐 매트나 콘크리트 블록 등을 이용한다. |
|
|
|
세이시 seiche |
|
|
|
항내의 해면은 조수(潮水) 외에그 만의 고유 주기로 승강할 수 있는데 이것을 세이시라 한다.항내의 세이시는 일반적으로 바람, 외해로 부터 침입하는 파도, 해일, 먼 해역의 저기압에 의한 장(長)주기 소(小)진폭파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입구가 좁고 형태가 가늘고 긴 만에 일어나기 쉽다.부(副)진동이라고 한다. |
|
|
|
셀블록 cellular block |
|
|
|
내부 공간에 잡석, 모래 등을 채워 중력식 구조의 제체(堤體)로 이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박스 모양의 것. 소규모 방파제, 안벽, 호안 등에이용되는수가 많은데. 밑면과 윗면이 없고 측벽만 있으며 모양은 케이슨의 벽체와 비슷하다. 별도로 제작한 밑판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