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재위치 : Home > 항만용어사전 |
|
|
건선거(乾船渠) dry rock |
|
|
|
조선이나 선박의 수리를 위하여 해안부에 선박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로 굴착하여 입구에 문비와 급배수 장치를 갖추고 그속에 선박이 들어가면 문짝을 닫고 내부의 물을 펌프로 배수하여 선체를 대상에 지지함으로써 선박을 수리하거나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만든 구조물. 케이슨 제작, 진수에도 사용된다. |
|
|
|
격벽(隔壁) bulkhead |
|
|
|
선체 또는 케이슨 내부를 구획하고 있는 벽을 말하는데 이는 선박이나 케이슨의 안전, 침수방지, 대형화재의 발생방지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다. |
|
|
|
강관널말뚝(鋼管-) steel pipe sheet pile |
|
|
|
강관에 이음부를 용접하여 벽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널말뚝. 단면 강성이 다른 널말뚝과 비교하여 매우 크고, 수평력에 대한 저항도 매우 크다 |
|
|
|
계선링(繫船 ) mooring ring |
|
|
|
소형선이 계류할 때 배의 로프를 걸 수 있도록 강제 원형 링을 설치한 일종의 계류장치. |
|
|
|
강관말뚝(鋼管-) steel pipe pile |
|
|
|
강제로 제작된 원통 모양의 말뚝. 구조물의 기초말뚝용이나 항만 시설에서 잔교식 또는 돌핀식 구조에 많이 사용됨. 시공성을 고려하여 슈(shoe)부를 개방하거나 지질 조건등을 고려하여 폐쇄하기도 한다. 특수한 토질에서는 특수 슈로 보강하여 사용한다. |
|
|
|
공기방파제(空氣防波堤) pneumatic breakwater, air breakwater |
|
|
|
해저에 파이프를 부설하고 그 파이프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하여 진행하는 파랑의 에너지를 감쇄하는 방파제, 배기관에서 나온 공기는 공포군으로서 해중을 상승류 또는 수면에서의 수평류와 난류에 의하여 쇄파를 촉진시키고 파랑의 에너지를 소진시킨다. 수심이 깊고 파장이 짧은 파랑에 유효하며 특수한 장소에 사용되기도 한다. |
|
|
|
강말뚝식방파제(鋼-式防波堤) steel pile breakwater |
|
|
|
하부는 연속해서 강관을 박아 벽체로 형성하고 상부는 현장 콘크리트로 연결한 구조의 방파제. 파고가 3m 미만인 외해나 항내 등 비교적 파고가 적은 곳의 연약한 해저지반 등에 적합하다. 그러나 기초부의 세굴에 문제가 있어 파랑이 큰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
|
|
|
개수로(開水路) open channel, open ditch |
|
|
|
수리학적으로, 유체가 대기에 접해 있는 자유수면을 가지고 흐르는 수로. 뚜껑이 없는 수로를 개거라고 하며, 뚜껑이 있는 것은 암거라고 한다. |
|
|
|
검조(檢潮) tidal observation |
|
|
|
간만의 차 또는 해수면의 수위를 관측하는 것으로서 검조기의 설치는 항만 이용에 지장이 없고 파도가 잔잔하여 관측지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하여 측정한다. |
|
|
|
게조(憩潮) slack water, slack tide |
|
|
|
왕복성 조류에서 창조류와 낙조류의 흐르는 방향이 바뀔 때, 유속이 0이 되는데 이 상태를 게조라 한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