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립 Drip 동결식품 유출액 동결식품을 녹이면 식품내부의 구성성분 및 물의 일부가 원상태로 식품조직에 흡수되지 못하고 밖으로 유출되는데 이 유출액을 드립이라 함
들고리
들고리 케이슨이나 블록을 기중기나 기중기선으로 적재, 인양, 거치하기 위하여 케이슨 또는 콘크리트 블록 속에 강봉이나 케이블로 만들어진 고리.
들고리틀
들고리틀 들고리에 수직으로 걸어서 들 수 있도록 강구조로 된 것을 들고리틀이라 함. 들고리틀은 꼬임이나 비틀림이 없어야 하며, 때로는 들고리가 경사지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케이슨 외에 프리페브(prefab) 셀이나 다른 구조물을 들어야 할 경우에는 중량 및 조건에 맞도록 제작 사용하고 있다.
들망 ~ 網, Lift net
들망 초망 부망 수면 아래 펼쳐두었다가 수산동물이 그 위에 유인한 후 들어올려 포획하는 그물. 후릿그물 또는 부망(敷網)이라고도 함. 초망(抄網)과는 떠올린다는 점을 같으나 들망이 대상물이 그물 위에 오도록 기다리나 초망은 그물을 대상물 밑으로 이동시켜 떠올린다는 점에서 구별됨. 들망을 사용한 어업으로는 연안들망어업이 있음. (수산업법시행령 §27)
들망어업 ~ 漁業
들망 어업 허가어업 연안들망어업 수면 아래 펼쳐두었다가 수산동물이 그 위에 유인한 후 들어올려 포획하는 들망을 사용하여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어업. 수산업법은 허가어업의 하나로 연안들망어업을 규정하고 있음. (수산업법시행령 §27)
등고선(等高線) contour line
등고선 contour line 지형도상에서 같은 표고의 점을 연결한 곡선으로서 주곡선, 간곡선, 계곡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등대 燈臺, Light house, Lights
등대 빛 LIghts 신호장치 유인등대 무인등대 항로표지의 하나로서, 빛(燈火)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장치. 주간에는 형상표지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임. 관리원의 상주(常住) 여부에 따라 유인등대(有人燈臺)와 무인등대(無人燈臺)로 구분됨. cf. 유인등대, 무인등대, (항로표지법 §2)
등대(燈臺) light house, light station
등대 light house light station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유인, 무인 등대가 있다. 야간에 등화로서 선박에게 목표물을 제공하고 항로 또는 위험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강력한 등광을 설비한 탑 모양의 구조물. 유인등대는 조광기의 초점거리의 대소에 따라 1등에서 6등 및 등외로 구분되어 있음. 항 입구의 방파제 두부나 산, 암초, 섬 등에 설치한다.
등대표 燈臺表, List of lights
등대표 List lights 서적 선박안내 수로서지 해상교통안전 등에 이용하기 위하여 각종 항로표지를 수록하여 발간한 서적. 형상 등에 의한 등대 및 전파를 이용하는 DGPS 등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하고 있음.
cf. 수로서지(水路書誌)